본문 바로가기
|로그인 |회원가입
모바일 메뉴버튼

미술사

한국미술사

삼국 이전의 미술
한국 미술의 여명기
구석기 시대/신석기 시대 / 청동기 시대
낙랑 시대의 미술: 채화칠엽, 청동 박산향료, 금류 세공품
삼국시대의 미술
삼국시대의 미술
고구려 미술
특징 : 고분 벽화에서 씩씩하고 늠름한 기상이 느껴진다
회화와 건축 - 고분 : 쌍영총, 무용총, 장군총, 우현리대묘
회화와 건축 - 벽화의 주제 : 사신도, 천상도, 풍속도, 문양도
조소 : 전불, 금동 일광 삼존불
백제미술
특징 : 아담한 모습의 불교 미술로 일본 미술에 영향을 끼쳤다
회화 : 송산리 고분 벽화, 능산리 고분 벽화
화가 : 인사라아, 아좌태자, 백사
건축 : 미륵사지 석탑, 정림사지 석탑
고분 : 능산리 고분, 공주 송산리 고분, 무령왕릉 전분
조소 : 불상조소임_금동보살입상, 금동일광 삼존불, 금동관세음 보살입상 -공예
화상전 : 산경문, 귀수문, 반룡문, 봉화문, 와운문, 연화문
금속공예 : 왕의 금관, 귀걸이, 금동관, 방격 규거 신수무늬 청동거울
신라미술
특징 : 아담한 모습의 불교 미술로 일본 미술에 영향을 끼쳤다
회화 : 송산리 고분 벽화, 능산리 고분 벽화
화가 : 인사라아, 아좌태자, 백사
건축 : 미륵사지 석탑, 정림사지 석탑
고분 : 능산리 고분, 공주 송산리 고분, 무령왕릉 전분
조소 : 불불상조소임 금동보살입상, 금동일광 삼존불, 금동관세음 보살입상
공예 - 순금 공예품 : 금귀걸이, 금띠
공예 - 토기 : 기마인물형토기
통일신라 시대의 미술
통일신라 시대의 미술
특징
우리 나라 미술사상 황금기이며 불교 미술의 극치를 이룬 시기 건축
건축
불국사 : 김대성이 창건
다보탑 : 화려하고 셈세한 미
석가탑 : 단순하고 남성적인 미
설굴암 : 조형적인 구성미
기타
영주 부석사 3층 석탑, 경주 정혜사지 13층 석탑, 검은사지 3층 석탑, 화엄사 4사자 석탑
조소
석굴암 조각(석가여래좌상, 십일면 관음보살상, 금강역사상, 사천왕상), 금동불상 순금 여래좌상, 무열왕릉비
고려의 미술
특징
통일 신라의 미술을 계승하여 세련되고 우아한 귀족 취미의 미술을 이룩함 건축
건축
부석사 무량수전: 목조 건물, 단순, 장엄
부석사 조사당 : 내부에 벽화
지광국사 현묘탑
수덕사 대웅전
봉정사 대웅전
개심사지 5층석탑/월정사 8각9층석탑/ 경천사 10층 석탑/ 마곡사 5층석탑
회화
부석사 조사당 벽화, 수락암동 고분 벽화
화가
이녕: 예성강도
공민왕: 천산 대렵도
혜허: 양류관음상
조소 : 부석사 아미타여래좌상, 관촉사 미륵불, 철조 불좌상
공예
고려자기: 고려 특유의 독창적인 미, 상감청자운학무늬 매병, 회청자 모란무늬병, 청자상감 진사채, 포도동자무늬 주전자와 승반(받침 그릇), 당초무늬주전
금속공예
범종 : 천흥사종
향로 : 은입사 동제 향로
정병: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무늬 정병
고려경: 고려 거울
칠공예: 나전칠기
조선의 미술
조선의 미술
특징
소박, 실용성이 강한 서민적인 경향
건축
근정전, 남대문, 경희루, 비원
회화
도화서를 설치하여 화가 양성
화가
안견(현동자) : 몽유도원도, 적벽도
강희안(인재) : 한일관수도
이상좌(학포) : 우중맹호도
이정(탄은) : 풍죽도, 우죽도
이암(행촌) : 화조화, 묘구도
조속(창강): 쌍금도, 문인화가
신사임당 : 요류화가, 초충도, 포도도
후기 화가들
화가
김명국(연담): 달마도, 신선도
정선(겸재) : 금강전도 인왕제색도, 진경산수화
심사정(현재) : 추경산수도
최북(호생관) : 표훈사도
김홍도(단원) : 서당도, 무동, 풍속화가
신윤복(혜원) : 연당의 여인, 단오
변상벽(화재) : 묘작도
장승업(오원): 군마도
김수철(북산) : 설경 산수도, 문인화
김정희(추사) : 서예가
추사체 확립
조소
부상 조소가 쇠퇴하고 석인, 석물이 제작됨
공예
도예 : 백자,분청사기, 청화백자/목죽공예 : 장롱, 소반, 서안, 탁자 등
칠기공예: 나전칠기, 화각공예
근대의 미술
특징
서양 문물의 유입으로 새로운 기법이 도입되어 현대 미술의 바탕을 이룸
건축
명동성당, 덕수궁 석조전, 독립문
회화
서양화(유화) 기법의 도입
화가
한국화가 : 조석진, 김용진, 변관식, 이상범, 허백련, 노수현, 이용우, 박내현, 김정현
서양화가 나혜석, 구본웅, 이인성, 이중섭, 김중현, 김종태, 박수근, 김환기,박상옥, 도상봉, 오지호, 이봉상
조소 : 광복 후 각종 동상이 제작됨

동양 미술사

중국의 미술

세계 4대 문명 발상지의 하나

중국의 미술
은주 시대의 미술
동물무늬의 청동기, 귀갑수골
진한 시대의 미술
만리장성, 대규모의 궁전과 성벽, 화상석, 석인, 석수 청동그릇의 그림, 기와의 그림, 도기, 동기, 칠기, 직물 공예품
육조 시대의 미술
3대 석불 : 다퉁, 룽먼, 윈강
고개지: 여사도
사혁 : 화론육법
수,당 시대의 미술
석굴 조각, 목조각, 도자기상
화가: 왕유, 염입본, 오도현(수묵화)
당삼채 도자기, 칠공예, 비단직물
송의 미술
화원을 설치하여 화가를 배출
화가: 마원, 하규, 이적
화조화, 산수화가 유행
남화 계통의 문인화 발달(목계)
회화와 도자공예의 황금기
원의 미술
도자공예 발달
화가: 조자양, 안휘, 왕몰
인도의 미술

불교 신앙의 발상지(동양 미술의 2대 발상지 중 하나)

인도의 미술
인더스 문화
인더스강 유역의 문화
마우리아 제국의미술
산치의 대탑
긴다라 미술
그리스식의 불상조각
굽타왕조의 미술
아잔타 석굴 벽화
무굴제국의 미술
타지마할 (동양의 파르테논이라고도 한다)

서양 미술사

원시
특징 : 동굴벽화
주제 : 들소, 사슴, 맘모스, 순록 등
대표작품 : 알타미라 동굴, 도르또뉴, 라스코 동굴벽화
고대미술
이집트미술
특징 : 절대적인 왕권과 자연 숭배에 의한 거대한 규모의 미술
건축 : 피라미드와 스핑크스, 신전
조각 : 촌장상, 서기 좌상
회화 : 정면 표현, 동시 표현, 병렬 표현
메소포타미아 미술
특징 : 티그리스, 유프라테스강 유역의 문화
건축 : 흙벽돌 궁전, 아치식 창문
조각 : 상처입은 사자상(부조)
에게해 미술
특징 : 크레타 섬 중심의 해상 문화
건축 : 크롯소스의 궁전, 지린스 궁전
조각 : 미케네 성문의 사자문
그리스 미술
특징 : 크레타 섬 중심의 해상 문화
건축 : 크롯소스의 궁전, 지린스 궁전
조각 : 미케네 성문의 사자문
로마 미술
특징 : 실용적인 건축물과 초상 조각
건축 : 콜롯세움, 개선문, 상수도교, 욕장
회화 : 품베이의 벽화
조각 : 아우구스투스 황제상, 카라칼라 황제상, 아그리파상, 시저상
중세미술
중세미술
초기 기독교 미술
특징 : 박해 받던 시기, 카타콤의 미술
회화 : 지하 묘소의 벽화
비잔틴 미술
특징 : 동양화된 크리스트교미술
건축 : 성 소피아 대성당
로마레스크 미술
특징 : 서로마를 중심으로 한 미술, 중세의 어둡고 육중한 느낌의 사원 건축
건축 : 피사 사탑, 피사 대성당
고딕 미술
특징 : 뾰족한 탑과 스테인드 글라스 장식, 수직적인 효과
건축 : 노틀담 성당, 아미앙 성당
르네상스 미술

인간성의 자각과 회복을 부르짖은 문예부흥기

초기 르네상스 미술
이탈리아 : 치마부에, 이옷토, 피자노
네델란드 : 반 에이크 형제(유화발명)
15세기 르네상스 미술
건축가 : 브르넬레스키
조각가 : 도나텔로(근대 조각의 시조)
화가: 마삿치오, 안젤리코, 보티첼리
16세기 르네상스 미술
이상주의적 사실주의
르네상의 미술의 3대 거장 : 레오나르드 다 빈치 : 모나리자, 최후의 만찬, 미켈란젤로: 최후의 심판, 다비드 상
건축가: 브라만테(성 페트로 대성당)
네덜란드의 화가 : 페터 브뢰겔
독일의 화가 : 뒤러, 홀바인
17-18세기 미술
17세기 미술
특징 : 역동적이며 남성적인 미술
이탈리아 : 베르니니
에스파냐 : 엘 그레코, 벨라스케스
플랑드르 : 루벤스, 반 다이크
폴란드 : 렘브란트
18세기 미술
특징: 셈세, 우아한 여성적 취향의 미술
프랑스: 와토, 샤르댕
영국: 호가아스, 레이놀즈, 게인즈보로
스페인: 고야
19세기 미술
특징
산업 혁명과 프랑스의 시민 혁명으로 자유주의 사상이 싹텄다
학파와 작가
고전파 : 단순하고 엄숙한 고전미(다비드, 앵그르)
낭만파 : 인간의 고조된 감정을 표현 (제리코, 가르포-조각가, 들라크루아)
자연파 : 자연과 농촌의 아름다움을 표현 (프랑스의 바르비종파 : 밀레, 코로, 영국의 자연파 : 터너, 컨스터블)
사실파 : 현실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여 표현한 현실파 (크르베, 도미에)
인상파 : 빛에 의해 변하는 순간적인 색체의 변화를 표현 (외광파 : 마네, 모네, 시슬레, 피사로/기타: 르누아르, 드가)
사실파: 현실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여 표현한 현실파 (크르베, 도미에)
신인상파: 인상파의 색채 이론을 광학적으로 분석 (점표화법, 쇠라, 시냐크)
후기 인상파 : 인상파의 이론에 반발하고 작가의 개성과 주관에 의한 표현 (세잔, 고흐 고갱)
20세기 현대 미술
특징
다양한 개성과 주관의 표현
학파와 작가
야수파 : 형과 색의 단순화(마티스, 루오, 뒤피, 블라맹크)
입체파 : 대상을 분해하여 재구성(피카소, 브라크, 레제)
표현파 : 극단적인 내면 세계를 표현(코코, 슈가, 뭉크)
허무주의(다다이즘) : 예술상의 반항 운동
추상파 : 순수 조형 요소의 표현
서정적 추상: 칸딘스키
기하학적 추상: 몬드리안
초현실파:굼, 공상, 환상의 세계를 표현(에른스트, 샤갈, 달리, 미로)
파리파: 위트리로, 수틴, 모딜리아니
앙포르멜과 액션 페인팅 : 추상 표현주의
조소
마을, 무어, 쟈코메티, 브랑쿠시, 콜더, 마리니
건축
그로피우스, 르코르뷔제, 라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