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묘
주로 한가지 색으로 대상의 형태, 명암, 양감등을 표현하는 그림
- 역할
- 그림을 그리기 위한 준비과정
- 모든 미술활동의 기초
- 관찰력과 표현력을 키우는 방법
- 독립된 작품
- 종류
- 크로키 : 움직이는 대상을 짧은 시간에 그 특징을 포착하여 간단하게 그림 (속사화)
- 스케치 : 작품제작을 위한 밑그림으로 그리는 것으로 약간의 명암을 표현함
- 데생: 정확한 형태 위에 명암, 균형, 등을 표현한다 (석고데생, 인체데생등)
- 정밀묘사: 대상을 세밀하고 정확하게 묘사함 (픽사티브)
- 재료
- 목탄 : 명암표현에 적합한 재료로 정착액을 뿌려서 보존함. 식빵을 사용하여 지운다
- 콩테 : 연필보다 부드러우며, 목탄보다 강하다. 그리고 나면 지우기가 어렵다.
- 연필: 가장 널리 쓰이는 재료로, 4B연필을 많이 사용한다
- 펜: 예리하고, 날카로워서 세밀한 표현이 가능하다.
회화
주로 한가지 색으로 대상의 형태, 명암, 양감등을 표현하는 그림
- 회화의 표현 요소
- 형 : 자연형, 변형형, 창조형
* 형태를 보는 기본 요소: 점, 선, 면
* 형태의 변화 요인 - 눈높이에 따른 변화, 보는 방향에 따른 변화 눈높이에 따른 변화, 보는 방향에 따른 변화
- 명암 : 밝고 어두움(입체감, 양감, 실재감 표현)
- 양감: 물체의 크기, 무게, 부피
- 질감 : 물체의 표면 느낌을 화면에 나타냄 (부드럽다, 거칠다 등)
* 재질감: 실제 물체에서 느껴지는 느낌
- 공간감: 거리감, 원근감
- 색채: 고유색, 창조색
- 구도_화면의 짜임새
- 구도의 3요소 : 변화, 통일, 균형
- 구도의 기본형
- 정물화에 주로 쓰이는 구도-삼각형 구도 (안정감 때문에)
- 풍경화에 주로 쓰이는 구도 - 대각선 구도, 호선 구도 (거리감 때문에)
- 명암의 단계
- 1 : 밝은 명암
- 2 : 중간 명암
- 3 : 어두운 명암(가장 어둡다)
- 4 : 반사광
- 5 : 그림자
수묵화
한국화
- 한국화의 특징
- 선과 여백, 정신적인 면의 중시
- 한국의 전통, 생활구조, 풍토의 표현
- 한국화의 분류(재료에 따라)
- 수묵화 : 먹의 농담으로 그린 그림
- 수묵 담채화 : 먹으로 그리고, 그 위에 엷게 채색하여 그린 그림
- 진채화 : 채색을 주로 한 그림(농채화)
- 한국화의 분류(화제에 따라)
- 산수화: 산수 경치 그린 그림
- 인물화 : 초상화, 신선도, 선종화, 미인도 그린 그림
- 화조화: 꽃과 새 그린 그림
- 화훼화 : 꽃을 그린 그림
- 기명절지화 : 꽃가지와 그릇을 그린 그림 (즉 정물화)
- 영모화 : 새와 고양이 등의 짐승 그림
- 어해화 : 잉어, 게 등의 물고기 그림
- 풍속화 : 그 시대의 생활상을 그린 그림
- 사군자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 그림 (봄, 여름, 가을, 겨울 상징)
- 초충도: 풀과 벌레를 그린 그림
- 한국화의 제작과정
- 구상
- 밑그림
- 밑 그림 위에 화선지를 놓고 먹선으로 그리기
- 채색하여 완성하기
수묵화의 기법
- 삼묵법 (농묵, 중묵, 담묵)
- 농묵: 짙은 먹색
- 중묵: 중간 먹색
- 담묵: 옅은 먹색
- 구륵법
- 윤곽선을 그린 후 채색하는 법
- 몰골법
- 먹이나 채색을 붓에 찍어 한 붓으로 그리는 법
- 백묘법
- 먹선 만으로 그리는 법
동양화의 구분
기후 조건에 따라 환경에 적응하려는 노력 때문이다.
- 북종화
- 필치가 강건하고(기후가 차기 때문) 사실적임. 채색은 농채법(기후가 차서 꽃이 적어 색을 보기가 어렵기 때문 색을 추구)을 쓰고 궁정화가들에 의하여 발달함 당(唐) 시대의 이사훈, 이소도 부자를 기원으로 한다.
- 남종화
- 그리는 사람의 뜻을 존중하며, 주관적, 정신적이며 필치가 유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묵화와 담채화를 주로 그리며, 당(唐)의 왕유를 시조로 한다 (기후가 따뜻하기 때문에 생활이 편하여 사람들의 성품이 온화)
- 문인화
- 문인이나 사대부들이 자신의 정신이나 지조를 나타낸 남종화풍 (즉 수묵화와 담채화)의 그림을 말한다. 사군자를 주로 그렸으며 시, 서, 화의 일치를 추구하였다.
인물화
- 인물화의 종류 [대상에따라]
- 자화상 : 자신의 모습을 그린 그림
- 초상화 : 타인의 모습을 그린 그림
- 군상화 : 여러 사람의 모습을 그린 그림
- 누드화 : 사람의 나체 모습을 그린 그림
- 코스춤 : 의상을 입은 모습을 그린 그림
- 인물화의 종류 [자세에따라]
- 입상 : 서 있는 모습을 그린 그림
- 좌상 : 앉아 있는 모습을 그린 그림
- 와상 : 누워 있는 모습을 그린 그림
- 인물화의 종류 [부위에 따라]
- 흉 상: 가슴까지의 모습을 그린 그림
- 반신상 : 반신까지의 모습을 그린 그림
- 3전신상: 몸 전체의 모습을 그린 그림
- 인물화의 표현요소
- 비례 : 인체의 기본 구조에 따른 정확한 비례
- 균형 : 자연스러운 균형감
- 움직임 : 정지된 몸 속의 동세
- 양감 : 기본 형태에 따른 입체감
- 표정 : 성격에 따른 표정, 특징
정물화
- 정물화의 특징
- 소재의 선택 이동이 가능함 -> 구도연구
- 소재의 고정 -> 형과 색의 탐구 가능
- 일기, 장소에 구애 받지 않음
- 광선의 강약, 방향 조절이 가능함
- 정물화의 역사
- 동양 : 기명절지화로 그릇, 꽃가지, 과일 등을 그려왔다.
- 서양 : 17C부터 독립된 주제로 그려져 왔으며, 18C 프랑스 샤르댕에 의해 완성되고, 19C 인상파를 거치면서 더욱 발전하였다.
- 사실주의 (지금의 민중예술) 화가였던 샤르댕이 지하감옥에서 비참한 생을 마치자 회의를 느낀 화가들은 화실로 숨어들게 되고 화실 안의 물건들을 그리기 시작한 것이 정물화의 시작이다.
- 정물화의 화면구성
- 화면구성의 3요소 : 변화, 통일, 균형
- 정물의 배치 : 눈높이보다 낮게 하여 변화있고 균형잡힌 속에 통일성이 있게 한다.
- 정물화의 구도(주로 쓰이는 구도) : 삼각형 구도 (안정감 때문)
- 풍경화의 특징
- 자연과 주변 풍경이 소재가 된다.
- 근경, 중경, 원경이 나타난다.
- 보는 각도, 거리, 시각, 계절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
-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 풍경화의 역사
- 동양 : 남북조 시대부터 산수화가 그려졌다.
- 서양 : 17세기에 독립, 19세기 인상파 화가들에 의해 절정을 이루게 된다.
- 정물화와 마찬가지로 사실주의 (지금의 민중예술) 화가였던 샤르댕이 지하 감옥에서 비참한 생을 마치자 회의를 느낀 화가들은 일부는 화실로 숨어들게 되고 일부는 바르비종이라는 마을에 모여 주위의 풍경을 그리기 시작한것이 풍경화의 시초가 되었다.
- 풍경화의 제작순서
- 소재선정 : 주변 풍경에서 마음에 드는 곳 선정
- 구도잡기 : 짜임새 있게 구성(구도를 사용)
- 스케치 : 윤곽과 대강의 명암을 그린다
- 색칠하기 : 근경, 중경, 원경에 유의한다.
- 정리 완성 : 전체적으로 조화롭게 마무리한다.
- 거리감의 표현
- 투시 원근법 : 투시도법에 따라 물체의 선을 연장시켜 만나는 점(소실점)을 구하여 그리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다.
- 색의 원근법(공기원근법) : 가까운 곳은 선명하게, 먼 곳은 흐리게 표현
- 점. 선, 면에 의한 거리감의 표현
조소
- 조소란
- 공간에 입체의 미를 표현하는 조형예술
- 조각: 깍아서 만들기
- 소조: 붙여서 만들기
- 조소의 표현 요소
- 양감 : 덩어리, 부피, 무게 등의 느낌
- 균형 : 전체와 부분간의 무게나 힘이 치우침이 없는 상태 (대칭/비대칭)
- 동세(운동감) : 움직임, 방향감, 생동감
- 공간 : 부피, 길이, 입체를 둘러싸고 있는 주변의 빈 곳
- 조소의 표현형식
- 환조 : 입체작품
- 부조 : 반입체작품(고, 중, 저부조) - 한 면에서 감상
- 심조 : 부조의 반대(음각) - 한면에서 감상
- 투조 : 불필요한 부분을 뚫어서 표
- 모빌 : 움직이는 조소 작품(미국의 폴더), 균형, 움직임이 중요함
- 조각이란?
- 나무 등 단단한 재료를 밖에서 안으로 깎아서 표현하는 것
- 조각의 종류 및 재료
- 석조: 대리석, 화강암, 발포 석고 등
- 목조: 벚나무, 전나무, 호두나무 등
- 아조: 동물의 뼈, 상아 등
- 브론즈: 청동조각
- 조각의 제작과정
- 밑그림 그리기
- 재료의 각 면에 스케치
- 큰 덩어리부터 깎기
- 세부 및 특징 표현
- 정리 완성
판화
판화의 특징
- 판에 의해 찍힌 그림으로 표현 기법에 따라 효과가 다양하다
- 간접표현
- 복수미술
- 찍힌 효과 : 재료, 용구, 기법에 따라 다양하고 독특한 효과를 낸다.
판화의 종류와 특징
판의 분류 방법 : 판에 잉크가 올라가는 위치에 따라 분류
- 볼록판
- 종류 : 고무판화, 목판화, 판화, 리놀륨 판화
- 재료와 용구 : 판재(목판, 고무판 등), 조각칼, 롤러, 잉크판, 바렌
- 특징 : 흑백의 대비효과 / 조각칼 자국/ 단순화된 형과 색/ 볼록한 곳에 잉크가 묻는다 / 판과 판화의 좌우가 반대로 나타난다.
- 오목판
- 종류 : 드라이포인트, 에칭, 에쿼틴트, 메조던트
- 재료와 용구 : 동판, 뷰린, 에칭니들, 초산, 그라운드, 압축기, 종이
- 특징 : 세밀하고 날카로운 선/선의 겹침과 부식에 의한 농담/오목한 곳에 잉크가 묻는다 / 판과 판화의 좌우가 반대로 나타난다/지폐, 증권등의 인쇄
- 평판
- 종류 : 석판화(리소그래피), 오프셋 인쇄, 모노타이프
- 재료와 용구 : 판재(석판), 리소크래용, 해묵, 고무액, 석판프레스
- 특징: 펜, 붓, 크레용 등의 흔적 / 평평한 면에 잉크가 묻는다 / 판과 판화의 좌우가 반대로 나타난다. / 오프셋 인쇄와 같다.
- 공판
- 종류: 스텐실, 실크 스크린, 등사 판화
- 재료와 종이, 칼, 실크스크린틀, 스퀴지 스폰지
- 재료와 종이, 칼, 실크스크린틀, 스퀴지 스폰지
- 조각의 제작과정
- 밑그림 그리기
- 재료의 각 면에 스케치
- 큰 덩어리부터 깎기
- 세부 및 특징 표현
- 정리 완성